품질경영

인증현황 제조공정

HACCP의 개념

HACCP이란?

"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(Hazatd and Critcal Control Point)"을 말하며, 이는 식품의 원료 관리-제조-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(물리적, 화학적, 생물학적)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 및 평가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.

 
 

식품의약품안저처장이 인정한 HACCP 시스템에 의해 위생관리가 이루어진 공장에서 제조한 제품임을 나타냄

HACCP 시스템

 
 

01. 전 공정에 대한 위해 요소분석, 중요관리점 결정, 한계기준 설정, 모니터링 방법 설정, 개선조치 설정, 검증방법 성정, 기록유지 및 문서 관리등에 관한 관리 계획


02. 일반적인 위생관리 운영기준, 영업장 관리, 회수관리 등의 운영절차


03. 위생적인 식품생산을 위한 시설 설비요건 및 기준, 건물의 위치, 시설설비의 구조,재질요건 둥에 관한 기준


HACCP은 식품을 위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, 설비 측 GMP 여건하에서 SSOP를 준수하였을 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.

HACCP 도입효과

 
 

HACCP 관리시스템

선행요건관리

  • 1. 영업장 관리     2. 시설관리     3. 제조 시설 설비 관리     4. 냉동, 냉장 설비 관리     5. 용수 관리     6. 보관, 운송 관리     7. 검사 관리     8. 회수 프로그램 관리

HACCP원칙

  • 1. 위해요소 뷴석(원칙1)     2. 중점관리점(CCP)결정(원칙2)     3. 한계기준 설정(원칙3)     4. 모니터링 방법 및 설정(원칙4)     5. 개인조치 설정(원칙5)     6. 검증방법 설정(원칙6)     7. 기록 유지 및 문서관리(원칙7)    

사전준비 5단계

  • 1. HACCP팀 구성     2. 제품설명서 작성     3. 용도 확인     4. 공정 흐름도 작성     5. 공정 흐름도 현장 검증    

교육훈련

  • 1. 전종업원 대상     2. 지속적인 교육훈련     3. 정기교육 실시     4. 철저한 사후관리